금속 노사 중앙교섭이 지난 13일 의견접근을 이룬 가운데, 지역지부와 지역 사용자단체가 벌이는 지부집단교섭도 속속 의견접근안을 도출하고 있다.

올해 지역지부 집단교섭을 펼치는 12곳 중 22일 현재까지 경남, 경주, 대전충북, 부산양산, 서울, 울산, 전북, 충남, 포항 등 9곳이 노사 간 의견을 접근시켰다. 경기지역은 임금인상을 제외한 다른 요구들에 대해 의견접근을 이뤘다. 반면 대구와 인천지역 노사는 아직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 지역지부 집단교섭이 속속 의견접근을 보고 있다. 21일 부산양산지부와 지역 사용자단체협의회가 의견접근안을 도출한 뒤 악수를 하고 있다. 부산양산=유장현

올해 일부 지역지부 요구안 중에는 회사의 노동탄압을 사전에 막자는 취지로 직장폐쇄를 제한하거나, 단체협약 이행을 강제하는 내용들이 있다. 경주지부와 대전충북지부는 올해 이와 관련한 의미 있는 내용을 따내기도 했다.

경주지부 노사는 19일 열린 11차 집단교섭에서 △노사협약 불이행으로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불이행 당사자가 지며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을 묻지 않기로 뜻을 모았다. 이 내용대로라면 회사의 협약 불이행에 항의해 노조가 파업을 하더라도 회사는 노조를 고소 고발할 수 없다. 또한 지부는 노동조합 활동을 이유로 징계나 손해배상, 가압류 등 불이익 처우를 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사용자로부터 받아내기도 했다.

대전충북지부는 올해 교섭에서 직장폐쇄 남용을 제한하는 장치를 마련했다. 발레오만도, KEC, 상신브레이크, 유성기업 등에서 벌어진 사용자의 공격적 직장폐쇄를 금지하자는 취지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선제적, 공격적 직장폐쇄를 하지 않고 △노조의 쟁의 중단과 현장복귀 선언 시 직장폐쇄를 철회하고 성실하게 교섭하며 △관계기간으로부터 직장폐쇄 정당성을 인정받지 못한 경우 그 기간 임금을 지급한다는 내용이다.

반면 대구지부 역시 비슷한 내용을 요구했지만, 사용자 측이 수용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대구지부는 27일 6시간 파업을 경고하고 있기도 하다.

지역사회를 위한 요구를 따 낸 곳들도 있다. 울산지부는 지역소외계층 지원을 위한 노사기금을 조성하자는 요구를 관철했다. 노조 측이 조합원 1인당 월 1천원을 걷으면, 사용자도 해당 사업장 조합원의 납부 액수와 동일하게 기금을 거출해 모으는 방식이다. 울산 지역 노사는 올해 말까지 노사실무위원회를 통해 기금 관리 및 지원 방식을 결정한 후, 내년부터 시행키로 뜻을 모았다.

인천지부도 올해 사용자가 사회공헌적 기금을 출연해 실업자와 비정규직 등 취약계층 보호에 사용하자는 요구를 했다. 하지만 사용자측이 아직 수용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어 교섭이 길어지고 있다.

공동 직장보육시설 설치를 요구했던 경기지부의 요구는 시점을 못 박지 못한 채 노사 각 3인이 모이는 공동위원회를 구성해 협의하는 수준으로 의견을 접근했다. 지부는 애초 올해 말까지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한 뒤, 내년 3월부터 반월공단과 시화공단에 공동 직장보육시설을 설치하자고 요구했었다.

저작권자 © 금속노동자 ilabo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