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충남지부 현대제철지회 장 모 조합원이 12월5일 06시40분쯤 추락, 사망했다. 장 조합원은 출근 직후 주검으로 발견됐다. 죽음을 막겠다던 현대자동차그룹-현대제철의 약속은 기업 이미지 세탁에 불과한 헛소리임이 드러났다.

재해노동자는 32미터 높이 기중기 운전실에서 1인 작업하던 노동자다. 현대제철비정규직지회 조합원이 11월28일 현대제철 당진공장 설비에 끼어 산업재해 사망사고를 당한지 불과 일주일 만에 발생한 중대재해다.

장 모 조합원이 떨어진 32미터 기중기에서 노동자를 보호할 장비는 안전난간대 뿐이었으나 난간 틈 사이가 벌어져 훼손된 상태였다. 더구나 운전실로 내려가는 계단은 폭이 55센티미터에 불과해 사고 위험이 항상 있었다.

▲ 노조 충남지부 현대제철지회와 노조 노동안전보건실이 12월5일 재해조합원 추락지점에서 현장기록을 위해 측정하고 있다. 노동안전보건실 제공

현대제철 당진공장에서 최근 10년 동안 31명의 노동자가 중대산업재해로 사망했다. 죽음의 공장이라 불리는 이유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2014년 2월7일 당진공장을 방문해 안전 관련 예산을 5천억원으로 늘리고 안전관리인력을 2백명으로 늘리라고 직접 지시하고 언론에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정몽구 회장은 덧붙여 현대제철 임직원들에게 “안전은 소중한 생명의 문제다. 행복한 가정과 건강한 사회의 기본이자 기업 경영의 최우선 가치”라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중대 재해사고가 재발할 경우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중히 책임을 묻겠다”는 말도 했다.

현대제철이 ‘죽음의 공장’이라는 불명예를 씻기 위해 노력한다는 약속은 잇따른 사망 산업재해로 거짓으로 나타났다. 지회에 따르면 조합원들이 공정의 안전 위험을 제기하고 설비 개선 등을 요구할 때마다 현대제철은 “돈이 없다”고 답변했다고 한다.

현대제철지회는 지난 11월28일 발생한 비정규직지회 조합원 중대재해 당시 현대제철이 구조를 위한 장비를 전혀 준비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현대제철 사내 구조대가 보유한 유일한 구조장비는 유압자키 한 대뿐이었고 이마저 고장 나 수리를 보낸 상태였다. 설비에 끼인 재해노동자를 구조하기 위해 자동차용 유압자키를 빌리러 다니느라 50분을 허비했다.

노동부는 시늉뿐인 산업재해 지도감독으로 노동자 죽음에 한 몫하고 있다. 노동부는 11월28일 중대재해 다음날인 29일 사고현장에 출동해 늦장 조사했다. 현대제철은 28일 보란 듯이 비정규직 노동자가 죽어간 컨베이어 벨트를 제외하고 동일 위험이 있는 4대의 컨베이어벨트를 가동했다. 12월5일 일주일 만에 사망재해가 발생하며 노동부는 관리감독 기능을 상실했음을 증명했다.

▲ 기중기 운전실로 내려가는 계단은 폭이 55센티미터에 불과해 사고 위험이 항상 있었다. 노동안전보건실 제공

현대제철지회 한 간부는 “허망한 죽음 앞에 노동자들은 나도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공포와 동료를 잃은 자괴감에 분노하고 있다. 열심히 일하다 죽은 억울한 죽음을 도대체 누가 책임져야 하는가”라고 물었다.

박세민 노조 노동안전보건실장은 “산업안전보건법 4조에 정부는 사업장에 대한 재해예방 지원, 지도 책임이 있고, 5조에 사업주는 사업장의 안전보건조건을 책임지고 노동자의 생명을 지키고 안전, 보건을 유지 증진시켜야 하는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세민 실장은 “법은 멀다. 정부와 기업주는 자본의 이익에 눈이 멀어 노동자의 안전을 책임지지 않고 있다. 현대차 자본은 박근혜 정권의 비리에 128억원을 쑤셔 넣으면서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안전문제에는 단 1원도 쓰지 않겠다고 버티고 있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현대자동차그룹과 현대제철에 최소한 안전조치를 보장하지 않아 발생한 연속사망사고에 대한 책임을 묻는 강력한 투쟁을 벌인다고 경고했다. 노조는 고용노동부에 현대제철 전면 조사, 지도감독, 사업주 즉각 처벌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금속노동자 ilabo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