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부산본부 3개 상담소는 지난해 총3회에 걸쳐 조합원이 아닌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하여 ‘무료 노동법 시민강좌’를 개최했습니다. 매회 5강씩 진행되었고, 임금, 해고, 비정규직, 산업재해에 대해 간단한 법률소개와 함께 실질적 대응요령을 매 100분씩 강의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강좌는 이 땅 노동자의 현실을 이야기하고 노동조합의 필요성에 대해 풀어내는 특강으로 구성했습니다.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대중 강좌의 경험이 많지 않았던 터라 노동법시민강좌가 어느 정도의 수요를 가질지는 미지수였습니다. 민주노총이란 이름으로 과연 몇몇의 시민들이 편안하게 강좌를 참석할 것인가? 이름을 뺄까? 이런저런 고민을 하면서 10명 내외의 참가자를 예상했는데 웬걸? 첫 강의에만 70여명의 참가했습니다. 용기백배하여 지난해 내리 세 차례 진행을 했고, 올해는 미리 예산까지 확보하여 세 차례 각 5강씩 총 15강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오는 4월 28일에는 제4회 무료노동법 시민강좌가 또 시작됩니다.

강좌에 참여하는 이들은 다양한 편입니다. 주로 제조업에 근무하는 중년의 남성이 많은 편이지만, 서비스나 사무직 남성도 있고, 여성들도 연령대로 골고루 참여하고 있습니다. 더러는 대학생들도 하나둘 씩 참여하고 있고, 조그만 회사의 인사담당자 및 회계 경리 담당이 조용히(?^^) 참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젊은 여성들의 경우 해고 및 인사이동, 비정규직 관련한 강의에서 질문을 많이 하는 편이고, 중년 남성들의 경우 연봉제 및 포괄임금제, 퇴직금 등에 대한 질문을 많이 합니다. 나이가 많으신 분들은 주로 경비나 미화직인 경우가 많고 이와 관련한 질문들을 많이 하는 편입니다. 질문이 매 강의 너무 많아서 강좌 때는 보통 질문시간을 갖지 않고, 질문지를 통해 답변을 할 정도입니다.

무료노동법시민강좌의 장점은 강좌를 전후로 3개 상담소에 근무하는 6명의 상담원들과 직접 상담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보통 강좌시간 전후로 개별 상담을 하느라 강당 주위가 시끌시끌 합니다. 산업재해와 관련한 강좌를 들으러 목발을 짚고 오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홍보가 문제인데, 부산의 경우 지하철 역사마다 가로 150센티 세로 90센티 크기의 지하철 노동조합 게시판이 있어 그곳에 홍보를 합니다. 참가자들의 80%가 지하철 역사 내 포스터를 보고 찾아옵니다. 덕분에 포스터 비용 외에 별다른 비용을 들이지 않아도 많은 효과를 내곤 합니다. 그 외는 공단지역에 리플릿을 돌리거나, 벼룩시장 무료광고등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시민강좌의 전체예산은 강사비용을 제외하면 1회 5강 평균 70만원이 됩니다. 강의는 대부분 상담소에서 직접 진행을 하기 때문에 강의비용이 크게 들지 않습니다. 적은 예산에 비한다면 많은 성과를 낼 수 있는 강좌인 셈이죠. 하여 최근에는 부산대학교 비정규직강사노조가 같은 프로그램으로 대학 내에서 ‘무료노동법강좌’를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기도 합니다.

올해는 청년노동자 전태일이 근로기준법 준수를 요구하며 자신의 몸에 불을 붙인지 4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합니다. 노동자 전태일은 ‘법을 아는 대학생 친구 하나가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라고 탄식했다고 합니다. 그가 바라는 세상이 아직 열리지는 않았지만, 최소한 법을 아는 노동자 친구들이 대학생 예비노동자들에게 우리 권리가 무엇인지 거꾸로 한 수 가르쳐 주는 세상은 된 듯 합니다. 전태일 열사 40주기를 맞이하여 더욱 많은 시민들이 강좌에 참여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양성민 / 민주노총 부산본부 법규부장

저작권자 © 금속노동자 ilabo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