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유가족 열다섯 명이 7월 14일 광화문 광장과 국회 의사당 앞에서 유족의 의견이 담긴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며 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유가족이 요구하는 세월호 특별법의 핵심내용은 세월호 진상규명위원회에 독자적인 수사권과 기소권을 부여하는 것.

노조 충남지부 명신지회 김영오 조합원은 14일 13시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연 뒤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함께 광화문에서 단식을 시작한 네 명의 아버지들과 마찬가지로 세월호 참사로 딸을 잃었다. 4월16일 팽목항으로 달려가 딸이 돌아오길 기다렸다. 딸은 4월25일 어머니, 아버지 곁으로 돌아왔다.

김영오 조합원은 딸의 장례를 치른 뒤 5월7일부터 26일까지 회사로 돌아가 근무했다. 김 조합원은 “일하고 있을 때 아이가 살려달라고 외치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고 머릿속에 딸 생각만 가득했다. 더 이상 일하지 못하고 휴직하고 서울로 달려왔다”며 휴직계를 쓰고 세월호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활동에 참여하게 된 사연을 밝혔다.

▲ 7월14일 노조 충남지부 명신지회 김영오 조합원이 유가족의 뜻을 반영한 세월호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광화문 광장에서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성민규

김영오 조합원은 싸움이 이렇게 길어질 거라고 생각지 않았다. “처음에는 국가가 해결해 줄 것이라 생각했다. 시간이 지나고 보니 국가는 유가족의 요구를 10%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특별법 제정,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안전한 나라 만들기 등 유가족의 요구를 다 묵살하고 수용하지 않았다”며 정부에 대한 실망을 감추지 않았다.

유가족들은 세월호 특위의 권한을 명시하지 않은 새누리당의 세월호 특별법안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김영오 조합원은 “세월호 특별법으로 만들어질 특위에 수사권과 공소권이 반드시 필요하다. 가족들이 요구하는 법안대로 만들어야 똑같은 사태가 벌어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김영오 조합원은 마음 편하게 세월호 진상규명과 특별법 제정을 위한 활동할 수 있게 도와준 동료들에게 고맙다고 말했다. “저는 휴직중이지만,  유가족 중에 직장을 잃을까봐 안타깝게 싸움을 중단하고 돌아간 분들이 있다”며 “이런 분들을 대신해 제대로 만든 세월호 특별법이 통과될 때까지 단식을 이어갈 것이다”라고 각오를 밝혔다.

김영오 조합원은 “싸움이 길어질 수 있다. 6개월이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금속노조 조합원들과 국민들이 이런 현실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김영오 조합원은 금속노조 조합원들과 동료들에게 부탁의 말을 남겼다. “싸움이 길어져 한참 뒤 돌아갈 나를 반갑게 받아주길 바란다. 이것만 있으면 난 더욱 당당하게 싸울 수 있다. 기다려 달라.”

저작권자 © 금속노동자 ilabo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